이익리밋은 투자자가 지금 시장형세에서 수익을 얻은후 시세의 변동으로 손실가능을 피면하기위해 수익을 중지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시장이 지금 주문에 좋을 때 수익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시세의 파동으로 지금 주문에 위험주는 염려 있다고 판단됨으로 이익을 중지려는 가격을 설치하는 것을 이익리밋이라고 합니다.
손실리밋은 지금 시세현황에서 일정한 수액이거나 비례로 손실되였을때 투자자는 즉시 매출을 해서 더 큰 손실을 보지 않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포지션을 오픈후 유저는 이익리밋이거나 손실리밋을 설치하려면 촉발가격이거나 한정가격 혹은 청산수량을 먼저 선택해야합니다. 지금 시장가격이 촉발가격에 달했을때 시스템은 예설한 한정가격주문과 청산수량으로 주문을 만들어 시장에 위탁합니다.
이익리밋 / 손실리밋
타입 |
주문방향 |
포지션 |
제시 |
롱 포지션으로 수익 |
Pump to Dump |
최신 거래 가격 ≥ 촉발 가격, 이익리밋 주문 촉발, 지정위탁실행의 수량과 가격 |
촉발가격이 최신거래가격보다 높으며 위탁가격이 촉발라격보다 낮습니다. |
롱 포지션으로 손실리밋 |
Dump continually |
최신거래가격≤촉발가격,손실리밋촉발가격 ; 지정가 짐행위탁가격과 수량 |
촉발가격이 최신거래 가격보다 낮습니다. 위탁지정가가 촉발가격보다 낮습니다. |
숏포지션으로 수익 |
Dump to Pump |
최신거래가격 ≤촉발가격, 이익리밋촉발주문; 지정가집행위탁가격과 수량 |
촉발가격이 최신거래가격보다 낮습니다. 위탁지정가격이 촉발가격보다 높습니다. |
숏포지션으로 손실리밋 |
Pump continually |
최신거래가격≥촉발가격 ,손실리밋가격촉발주문; 지정가집행위탁가격과 수량 |
촉발가격이 최신가격보다 높습니다. 위탁지정가격이 촉발가격보다 높습니다. |
필드 이름 의미 |
의미 |
필수 여부 |
촉발가격 |
최신가격이 해당가격에 달했을때 주문이 촉발됩니다. |
필요 |
지정가 위탁 |
주문이 촉발될때 해당가격으로 시장으로 위탁됩니다. |
필요 |
청산수량 |
주문이 촉발될때 구매/매출수량 |
필요 |
전망수익 (수수료가격) |
주문이 촉발되거나 거래될때 저망되는 손익 |
불필요 |
Billance 팀에서